관객 모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09:21
본문
Download : 관객 모독.hwp
그런데 페터 한트케(Peter Handke)의 구변극 『관객모독 Publikumsbeschimpfung』 (1966)은 전통적인 연극공연에 대한 비평을 내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연극비평에 관한 희곡’이라는 독특한 성격을 지닌다.
본 고의 내용은 『관객모독』 상연에 대한 비평이 아니라, 관습적인 전통 연극에 대해 비평을 하고 있는 『관객모독』 희곡에 관한 고찰이다. Ⅰ. 서 론 1
1. 연구상황 2
2. 연구방법 6
Ⅱ. 한트케의 문학세계 8
1. 오스트리아 문학과 한트케 8
2. 한트케의 언어관 12
Ⅲ. 『관객모독』에 나타난 탈환상 시도 22
1. 전통극 부정과 구변극 22
(1) 부정이 대상 - 전통극 22
(2) 부정이 결과 - 구변극 29
(3) 부정이 극작법 36
1) 극장 부정 36
2) 극적 요소 부정 41
3) 연극 관람태도 부정 49
2. 『관객모독』에 나타난 언어놀이 53
(1) 비트(Beat) 음악적 결과 56
(2) 문장구조와 문체적 특징 60
(3) 수사법 65
(4) 욕 설 69
Ⅵ. 결 론 74
서지사항 78
독문요약 83
극작가가 하고자 하는 일은 무엇인가?, 그(그녀)는 그것을 얼마나 잘 해냈는가?, 그것은 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 이것은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가 연극비평에서 제시한 기본적인 세 가지 질문이다.
희곡 비평이 글로 쓰여진 작품에 대한 것이라면, 연극 비평은 주로 연극 공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에서는 괴테가 던진 세 가지 질문의 틀을 이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비평의 성격 때문에 『관객모독』을 ‘전통연극과 연극관람에 대한 서문’이면서 “(전통)연극의 끝(Ende des Theaters)`이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괴테가 연극비평에 대해 던진 질문이기는 하지만 희곡비평에도 유효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위의 세 가지 질문 중 첫 번째 질문인 ‘한트케가 구변극 『관객모독』을 통해 하고자 하는 일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나머지 두 번째와 세 번째 질문은 conclusion 에서 간략하게 다루고자…(투비컨티뉴드 )
순서
Download : 관객 모독.hwp( 41 )
관객모독 , 관객 모독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관객 모독
관객모독






레포트/인문사회
다.